이야기/습관의 힘 34

[고사성어] 전호후랑 前虎後狼

前 虎 後 狼 '앞문에서 호랑이를 막으니, 뒷문으로 늑대가 들어온다' 불행한 일이나 난처한 일이 연달아 일어나는 것을 비유할 때 쓰인다. 前 앞 전 虎 범 호 後 뒤 후 狼 이리 랑 ‘낭전호후(狼前虎後)’라고도 한다. 재난으로부터 겨우 벗어났다고 생각했는데 또 다른 재난이 생기는 것을 나타낸다. 불행한 일이나 난처한 일이 연거푸 발생하는 것을 비유할 때 쓰인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불행이 겹쳐서 온다는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눈 위에 서리가 덮인다는 뜻의 ‘설상가상(雪上加霜)’, ‘설상가설(雪上加雪)’, 병을 앓는 중에 또 다른 병이 겹쳐 생긴다는 뜻의 ‘병상첨병(病上添病)’, 불행은 홀로 오지 않는다는 뜻의 ‘화불단행(禍不單行)’이 있다. 이와 반대되는 의미의 사자성어로는 비단 위에 꽃을 더하는 것과 같이..

[고사성어] 유지자사경성 有志者事竟成

有志者事竟成 '뜻이 있어 마침내 이루다'라는 뜻 이루고자 하는 뜻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성공한다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이다. 중국 후한(後漢)의 광무제(光武帝)와 수하 장수 경엄의 고사(故事)에서 유래되었다. 有:있을 유 志:뜻 지 竟:마침내 경 成:이룰 성 유지경성(有志竟成) 또는 유지자사경성(有志者事竟成)이라고도 한다. 경엄(耿弇)은 원래 선비였는데, 무관들이 말을 타고 칼을 쓰며 무용을 자랑하는 광경을 본 뒤로 자신도 장차 대장군이 되어 공을 세우고자 마음먹었다. 나중에 유수(劉秀:훗날의 광무제)가 병사를 모집한다는 소식을 듣고 달려가 그의 수하가 된 뒤로 많은 전투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경엄이 유수의 명을 받고 장보(張步)의 군대를 치러 갔을 때의 일이다. 당시 장보의 군대는 전력이 상당히 두터..

[고사성어] 군자피삼단 君子避三端

君子避三端(군자피삼단) 文士之筆端(문사지필단) : 문사의 붓 끝 武士之鋒端(무사지봉단) : 무사의 칼 끝 辯士之舌端(변사지설단) : 변사의 혀 끝 《한시외전》 「새 가운데 아름다운 깃털과 굽은 부리를 가진 것을 새들도 두려워하고, 물고기 가운데 입이 크고 아랫배가 살찐 것을 물고기도 두려워하며, 사람들 가운데 말솜씨가 좋고 말수가 많은 이를 사람들은 두려워한다. 그러므로 군자는 이 세가지를 피해야 한다. 문필에 능한 사람의 붓끝과, 무예에 뛰어난 사람의 칼끝과, 말을 잘하는 사람의 혀끝이다.」 《韓詩外傳》 「鳥之美羽勾喙者, 鳥畏之. 魚之侈口垂腴者, 魚畏之. 人之利口贍辭者, 人畏之 是以君子避三端 文士之筆端 武士之鋒端 辯士之舌端.)」 출저 : 네이버 지식백과 군자피삼단 군자는 붓끝, 칼끝, 혀끝의 3가지 끝..

[고사성어] 식시오관 食時五觀

食時五觀 『규합총서』「사대부(士大夫)의 식시오관(食時五觀)」(빙허각 이씨, 1815년) 一. 計功多少 量彼來處 (계공다소 양피내처) 二. 忖己德行 全缺應供 (촌기덕행 전결응공) 三. 防心離過 貪等爲宗 (방심이과 탐등위종) 四. 正思良藥 爲療形枯 (정사양약 위료형고) 五. 爲成道業 應受此食 (위성도업 응수차식) 첫째, 상을 차린 정성을 헤아리고 그것이 어디서 왔는가를 생각한다. (=음식을 준비한 손길에 감사할 줄 알아야 한다.) 갈고 심고 거두고 찧고 까불고 지져 공(功)이 많이 든 음식이다. 하물며 산짐승을 잡아 살을 베어 내어 맛있게 하려니, 한 사람이 먹는 것은 열 사람이 애쓴 결과이다. 집에서 먹어도 부조(父祖)의 심력(心力)으로 경영한 바요, 비록 재물이 아니나 여경(餘慶)을 이어 벼슬하여 백성의..

식초의 재발견

1. 지나치게 짠 음식에 식초를 몇 방울 넣으면 짠맛이 덜 해진다. 2. 밥통의 밥을 오래 보존하려면 옮겨 담기 전에 밥통에 식초를 한 두 방울 떨어뜨린다. 3. 도마에 밴 파 냄새나 손에서 나는 양파 냄새, 마늘 냄새는 식초를 탄물로 씻으면 없어진다. 4. 김밥을 자를 때 식초에 칼을 담갔다 자르면 잘 잘라진다. 5. 오이의 쓴 맛을 빼려면 식초를 탄 물에 담가 둔다. 6. 다시마를 삶을 때 식초물에 담그면 색깔이 곱고 잘 무른다. 7. 연근, 우엉 등을 삶을 때식초를 넣으면 아린 맛이 가시고 빛깔이 엷어진다. 8. 질긴 고기는 식초를 발라 2~3시간 두면 연해진다. 9. 식초를 서너 방울 떨어뜨리면 달걀이 깨지지 않고 그대로 잘 삶아진다. 10. 석쇠에 식초를 바른 뒤 구우면 생선이 눌어 붙지 않고 ..

마음이 아름다워지는 화장품

마음이 아름다워 지는 화장품 주름이 생긴 이마에는 "상냥함" 이라는 크림을 사용해 보세요. 이 크림은 주름을 없애주고 기분까지 좋아지게 하니까요. 입술에는 "침묵" 이라는 고운 빛의 립스틱을 발라 보세요. 이 립스틱은 험담하고 원망하는 입술을 예쁘게 바로 잡아주는 효과도 있답니다. 맑고 예쁜 눈을 가지려면 "정직과 선함"이라는 안약을 사용해 보세요. 최선의 효과를 얻으려면 어디를 가든지 그 안약을 소지해야 한답니다. 피부를 곱게 하고 싶으면 "미소" 라는 로션을 바르면 피부가 촉촉하고 부드러워지며 거울을 보고 미소 지으며 하루를 시작하면 날마다 행복할 수 있습니다. 가장 이상적인 피부영양제 화장품은 "묵상" 입니다. 아주 효능 좋은 피부 청결용 세안 비누는 "회개" 가 최고라고 합니다. 아, 참!!! 가..

인생존망 7대 언어

원문기사 : 코메디닷컴 "다 알고 있어", "힘들어" 왜 어떤 사람들은 더 성공적일까. 왜 어떤 사람들은 일상적인 업무에 허덕이는 다른 사람들과는 달리 매일 성취감을 느끼면 사는 걸까. 전문가들은 그 해답은 사용하는 어휘에 달려 있다고 말한다. 사용하는 말은 그 사람의 심리상태와 개인적으로나 직업적으로 인생을 보는 방법에 전적으로 달려있다. 미국의 경제 잡지 '포브스(Forbes)'가 성공하는 사람들이 절대 하지 않는 말 7가지를 소개했다. ◆"그건 불가능해!" 성공하는 사람들은 어떤 문제든 반드시 해결책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창조적이 되면 불가능이란 있을 수가 없다. 이루기가 힘든 목표가 있을 때라도 성공하는 사람들은 차분히 이에 대응한다. 그들은 한 단계 한 단계 접근하다보면 결국 목표에 도달하..